리텐션 4

리텐션 차트(Retention Chrat)와 리텐션 커브(Retention Curve)

리텐션(Retention)과 코호트(Cohort)전체 데이터를 쪼개어 특정 집단 안의 특징을 보고, 다른 집단과 비교하는 일을 코호트(Cohort) 분석이라고 한다.▼ 코호트 분석에 대해 더 알아보기https://juyoungeeya.tistory.com/entry/%EC%BD%94%ED%98%B8%ED%8A%B8-%EB%B6%84%EC%84%9D 코호트 분석 (Cohort Analysis)고객 세분화 (Customer Segmentation)고객들을 공통의 특징을 기준으로 그룹화하는 것을 고객 세분화(Customer Segmentation)이라고 한다. 공통의 특징을 공유하는 집단별로 고객을 세분화하면 개선이 필요juyoungeeya.tistory.com리텐션 분석을 할 때에도 코호트를 잘 정의하는 것..

etc 2025.02.16

범위 리텐션 (Range Retention)

범위 리텐션 (Range Retention)범위 리텐션(Range Retention)은 클래식 리텐션을 유연하게 확장한 개념으로, 클래식 리텐션은 분석을 특정 일/주/월 단위로 한정짓는 느낌이라면, 범위 리텐션은 구간을 유연하게 다룬다. 범위를 지정하는 게 특징이기 때문에 Bracket Retention이라고도 부른다. 1월 1일에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 A, B, C, D, E의 방문 로그를 아래와 같이 가정하고, 이 데이터를 3일씩 묶어 범위 리텐션을 계산해 보자.사용자2025-01-012025-01-022025-01-032025-01-042025-01-052025-01-062025-01-07A방문방문방문방문방문방문방문B방문방문 방문   C방문 방문방문   D방문    방문 E방문     방문 아래의..

etc 2025.02.16

롤링 리텐션 (Rolling Retention)

롤링 리텐션 (Rolling Retention)롤링 리텐션(Rolling Retention)은 사용자가 이탈하지 않고 남아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Unbounded Retention이라고도 부른다. 롤링 리텐션은 기준일을 포함하여 그 이후에 한 번이라도 재방문한 유저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는 마지막 방문일 이전은 방문한 것으로 간주한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기준일 이후에 방문 기록이 있다면, 기준일 당시에는 이탈하지 않은 사용자로 계산한다는 의미이다.사용자2025-01-012025-01-022025-01-032025-01-042025-01-052025-01-06A방문방문방문방문방문방문B방문방문(방문으로 간주)방문  C방문(방문으로 간주)방문방문  D방문(방문으로 간주)(방문으로 간주)(방문으로 ..

etc 2025.02.16

리텐션(Retention)과 클래식 리텐션(Classic Retention)

AARRRAARRR은 그로스 해킹의 대표적인 분석 프레임워크로, 사용자 획득 → 신규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자 시작 (사용자 활성화)  → 지속적인 서비스 사용 (사용자 유지) → 구매 →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 → 새로운 사용자 획득이라는 유저의 서비스 이용사이클을 체계화한 프레임워크이다.Acquisition: 사용자 획득Activation: 사용자 활성화Retention: 사용자 유지Revenue: 매출Referral: 전파 리텐션이 중요한 이유AARRR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Retention, 사용자 유지와 관련한 지표 계산은 다섯 가지 단계 중 가장 먼저 개선을 해야 하는 단계로 알려져 있다. 만약 사용자 유지가 되지 않는 서비스인데 광고를 늘려 Acquisition, Activation을 늘린다면,..

etc 2025.02.09
728x90